| 
 
다음은 'Effective STL' 항목9의 내용을 나름대로 정리하고 수정한 내용입니다.
 
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 
 제네릭 알고리듬인 remove와 remove_if는 컨테이너에서 값을 삭제한다기 보다는,
 값을 덮어쓰는(assign) 알고리듬이기 때문에 시퀀스 컨테이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, 
 키값이 바뀌면 안되는 성질이 있는 연관 컨테이너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 
 (아예 컴파일이 불가능합니다.)
 
 연관 컨테이너에서 원소를 삭제하려면, 제네릭 알고리듬 remove 대신
 멤버함수 erase를 사용하면 됩니다.
 하지만 제네릭 알고리듬 remove_if에 해당하는 멤버함수는 없습니다.
 이 경우는 루프를 사용해서 직접 삭제해야 합니다.
 Effective STL에 나와있는 코드를 약간 수정해서
 연관 컨테이너용 remove_if "함수"를 만들었습니다.
 (여기서 "알고리듬"이 아니라 "함수"인 이유는, 
 알고리듬은 인자로 컨테이너 자체가 아니라 반복자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
 멤버함수 erase를 호출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죠.)
 
 다음은 구현 예제입니다.
 
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 #include <iostream>
 #pragma hdrstop
 #include <set>
 #include <iterator>
 
 using namespace std;
 
 template <typename AssocContainer, typename Predicate>
 void remove_if(AssocContainer& c, AssocContainer::iterator first,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AssocContainer::iterator last, Predicate pred)
 {
     AssocContainer::iterator i = first;
     while (i != last) {
         if (pred(*i))
             c.erase(i++);
         else
             ++i;
     }
 }
 
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 
 #pragma argsused
 int main(int argc, char* argv[])
 {
     multiset<int> ms;
     ms.insert(2);
     ms.insert(1);
     ms.insert(-2);
     ms.insert(0);
     ms.insert(-1);
     ms.insert(0);
     ms.insert(1);
     ms.insert(2);
     ms.insert(0);
     ms.insert(-1);
     ms.insert(-2);
 
     ostream_iterator<int> out(cout, " ");
     copy(ms.begin(), ms.end(), out);
     cout.put('\n');
 
     // 음수인 원소를 모두 삭제합니다.
     remove_if(ms, ms.begin(), ms.end(), bind2nd(less<int>(), 0));
 
     copy(ms.begin(), ms.end(), out);
     cout.put('\n');
 
     return 0;
 }
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 
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 
 -2 -2 -1 -1 0 0 0 1 1 2 2
 0 0 0 1 1 2 2
 
 
    |